♡건강365- 부종과 신장질환
- 2011년 09월 02일(금) 07:40 | -생활문화(culture)- |
(앵커)
-대개 부종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넘기기 쉬운데요.
하지만 부종은 심장이나 신장, 간 질환의 증상인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 건강 365에서는 부종에 대한 정보 준비했습니다.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리포트)
갑자기 얼굴이 푸석해지고 신던 신발이 맞지 않는다면 부종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대개 부종은 대부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러 심각한 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부종이란 세포와 세포 사이의 수분, 즉 간질 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입니다.
부종은 단순 체중증가와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살이 쪄서 체중 증가를 보일 경우 부종을 의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근육이나
지방세포의 양과 크기가 증가한 것이 원인이므로 신체 아래쪽의 함몰 부종 소견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권은회/ 해동병원 내과 과장)
정상적인 사람도 밤낮의 자세 변화에 의해 부종이 생길 수 있는데요.
아침에 일어나서 얼굴이 푸석하거나 하루 종일 서있으면 저녁 무렵 발이 약간 붓기도
합니다.
간혹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제, 여성 호르몬제에 의해서 부종이 유발되기도 하는데요.
부종이라는 부작용보다 약의 필요성이 큰 경우도 많기 때문에 무작정 약 복용을 끊기
보다는 전문의와의 상담 아래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부종이 민감하게 느껴진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부종의 진단을 위해서는 알부민수치, 단백뇨 검사 등 신장*간*심장*갑상선 기능을
파악하기 위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한편, 부종은 여러 형태로 분류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전신 부종과 국소 부종으로
나누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부종부위의 압통과 열감, 빨갛게 달아오르는 증상은 염증을 의미하는데요.
하지의 청색증을 동반한 부종은 심부정맥 혈전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다리 한 쪽만 붓거나 팔 양쪽에만 부종이 국한되면 정맥, 림프관 폐쇄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 손발, 혹은 무릎이 부어 보이고 통증을 동반하면 관절 부종을 의심할 수 있는데요.
전신부종은 손가락으로 눌러도 손가락 자국이 남고 금방 회복되지 않는 것이 특징
인데요.
주로 서서 일하면 발과 다리에, 침상에 누워있으면 등*엉덩이에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안면부종은 알레르기 반응인지 갑상선기능 저하로 인한 것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전신부종은 신장질환*심장질환*간 질환 등 위험한 질환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장질환으로는 ★신증후군, 사구체신염이나 신기능 저하 상태를 의심할 수 있는데요.
신증후군은 소변에 배설되지 않아야 할 알부민이 배설돼 부종이 생기는 것으로
심한 단백뇨와 저알부민혈증이 동반됩니다.
한편, 심장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심부전 상태에서 부종이 동반될 수도 있는데요.
이 경우 심장초음파로 심장기능을 평가해 진단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간경화 환자에서도 부종이 동반될 수 있는데 복수나 황달, 간수치 상승
등이 동반되면 의심할 수 있습니다.
부종은 정확한 원인진단 후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부종의 원인과 관계없이 이뇨제를 남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약을 끊으면 다시
부종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건강 365였습니다.
-대개 부종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넘기기 쉬운데요.
하지만 부종은 심장이나 신장, 간 질환의 증상인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 건강 365에서는 부종에 대한 정보 준비했습니다. 화면으로 만나보시죠.
(리포트)
갑자기 얼굴이 푸석해지고 신던 신발이 맞지 않는다면 부종을 의심해 보셔야 합니다.
대개 부종은 대부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러 심각한 질환의 증상일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부종이란 세포와 세포 사이의 수분, 즉 간질 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입니다.
부종은 단순 체중증가와 감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살이 쪄서 체중 증가를 보일 경우 부종을 의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근육이나
지방세포의 양과 크기가 증가한 것이 원인이므로 신체 아래쪽의 함몰 부종 소견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권은회/ 해동병원 내과 과장)
정상적인 사람도 밤낮의 자세 변화에 의해 부종이 생길 수 있는데요.
아침에 일어나서 얼굴이 푸석하거나 하루 종일 서있으면 저녁 무렵 발이 약간 붓기도
합니다.
간혹 진통소염제나 스테로이드제, 여성 호르몬제에 의해서 부종이 유발되기도 하는데요.
부종이라는 부작용보다 약의 필요성이 큰 경우도 많기 때문에 무작정 약 복용을 끊기
보다는 전문의와의 상담 아래 복용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부종이 민감하게 느껴진다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부종의 진단을 위해서는 알부민수치, 단백뇨 검사 등 신장*간*심장*갑상선 기능을
파악하기 위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한편, 부종은 여러 형태로 분류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전신 부종과 국소 부종으로
나누는 것인데요.
예를 들어 부종부위의 압통과 열감, 빨갛게 달아오르는 증상은 염증을 의미하는데요.
하지의 청색증을 동반한 부종은 심부정맥 혈전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다리 한 쪽만 붓거나 팔 양쪽에만 부종이 국한되면 정맥, 림프관 폐쇄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또 손발, 혹은 무릎이 부어 보이고 통증을 동반하면 관절 부종을 의심할 수 있는데요.
전신부종은 손가락으로 눌러도 손가락 자국이 남고 금방 회복되지 않는 것이 특징
인데요.
주로 서서 일하면 발과 다리에, 침상에 누워있으면 등*엉덩이에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안면부종은 알레르기 반응인지 갑상선기능 저하로 인한 것인지 구분해야
합니다.
전신부종은 신장질환*심장질환*간 질환 등 위험한 질환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장질환으로는 ★신증후군, 사구체신염이나 신기능 저하 상태를 의심할 수 있는데요.
신증후군은 소변에 배설되지 않아야 할 알부민이 배설돼 부종이 생기는 것으로
심한 단백뇨와 저알부민혈증이 동반됩니다.
한편, 심장기능이 현저히 저하되는 심부전 상태에서 부종이 동반될 수도 있는데요.
이 경우 심장초음파로 심장기능을 평가해 진단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간경화 환자에서도 부종이 동반될 수 있는데 복수나 황달, 간수치 상승
등이 동반되면 의심할 수 있습니다.
부종은 정확한 원인진단 후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부종의 원인과 관계없이 이뇨제를 남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약을 끊으면 다시
부종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건강 365였습니다.
- 부산경남 대표방송 KNN 이아영 기자 -
※ 신장이 하는 중요한 역할이 혈당 조절작용,혈압조절 작용, 전해질 조절작용을 담당하는데,,,
전해질 조절작용이 원활하게 되지 않으면 몸에 불필요한 수분이 수독으로 남아서 부종과 혈압을 상승
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무엇보다고 근본적인 원인 치료인 ★신장강화를 시켜줘야 합니다.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보다 윤택하고 질적인 삶을 원하신다면,...
★★장대녕-신장강화로 성기능강화,혈액순환,체내독소제거 탁월!!★★
☎전문상담 문의: 050-5357-8481
※변비해결,숙변,장관련질환,간장질환해결!!
반드시 무료가입후 반드시 정회원신청하신후 둘러보십시요!! ♡다음카페주소: http://cafe.daum.net/vivacafe ♡장대녕 홈페이지주소: http://www.vivacafe.net [체험사례] |
![]() ![]() |
출처 : 장대녕,신장강화,신증후군,신장질환,단백뇨,부종,모노리바,수소
글쓴이 : 장대녕짱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