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관절에좋은 쇠물팍(쇠무릎,우슬)

편지해/온달 2011. 8. 3. 22:46

관절에좋은 쇠물팍(쇠무릎,우슬)

 

 

 

 



쇠무릎풀은 비름과 쇠무릎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쇠무릎속은 전세계에 약 2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종인
쇠무릎(우슬초)이 자라고 있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네모진 줄기는 50~100cm 높이로 곧게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에 마주나는 타원형 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털이 약간 있다.
8~9월에 줄기와 가지 끝의 수상꽃차례에 연녹색 꽃이 모여 달린다.
열매에 뾰족한 털이 있어서 사람의 옷이나 짐승의 털에 잘 달라붙는다.

마디가 두드러져서 소의 무릎처럼 튀어나와 보인다고 하여 '쇠무릎'이라고 부른다.
봄에 돋는 어린순을 나물로 해 먹으면 맛이 좋다. 개화기는 8~9월이고
결실기는 9~10월이다.
쇠무릎의 다른 이름은 우슬, 회우슬 계교골 웅토우슬 우슬초, 쇠무릎팍, 쇠무릎,
쇠무릅지기 등으로 부른다.

쇠무릅지기 (우슬)에효능
자궁수축작용, 이뇨작용, 항알레르기작용, 억균작용, 진통작용, 심장혈관에 대한 작용,
장관에 대한 작용, 이뇨작용, 혈액순환촉진, 발이 마비되는 증상과 근육경련,
혈뇨, 칼에 베인 상처, 요실금, 자궁경관확장의 치료, 난산, 산후 어혈에 의한 부종,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소갈증, 만성학질, 풍습에 의한 마비, 요통을 무기력한 증상,
인후염, 편도선염, 학슬풍, 입안 및 혀에 창이 나고 궤란하는 증상, 소변불통,
음경이 몹시 아픈 증상, 무월경, 난산, 산후복통, 산후자궁무력증, 부정자궁출혈,
부종, 임증, 부스럼, 타박상에 효험이 있다고 한다

주의사항으로 중기(中氣)가 함몰하고 비기가 허하여 설사하며 하원(下元)이
튼튼하지 못하고 몽유실정(夢遺失精)하고 월경이 과다한 증상 및
임신부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

출처 : 자연행복농장
글쓴이 : 두메산골(다래n감) 원글보기
메모 :